김해 공항 배터리 화재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지난 무안공항 참사와 달리, 이번 김해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는 인명 피해가 없었다는 점이 그나마 큰 다행이라는 생각이다. 1월 세부 여행을 다녀오면서 김해공항을 이용했었던 나로서도 큰 충격을 받은 소식인 듯싶다. 설 연휴로 많은 분들이 해외여행을 떠나기 위해 공항을 찾았을 것을 생각하면,,, 자칫 더 큰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었을 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항공사의 안전 부주의였는지 아니면 다른 원인이 있었는지 지금까지 밝혀진 내용을 통해 알아보려고 한다.

화재 항공편은?
에어부산 BX 391편
김해 ↔ 홍콩 에어버스 A321-231 기종

이번 화재는 28일 밤 10시 15분경 부산 김해 공항에서 홍콩으로 향할 예정의 항공기로, 승객 169명과 승무원 7명 등 총 176명이 탑승하고 있었다고 한다. 전원 비상 탈출용 슬라이드를 통해 무사히 대피했으면 경상을 입은 3명은 병원으로 이송되었다고 한다.

화재 원인 분석?!

화재는 꼬리 쪽 내부 선반(오버헤드 비)에서 화염이 처음 발생했고, 검은 연기가 발생한 뒤 화재로 번진 것으로 보인다는 승객들의 증언이 나왔다고 한다. 현직 기장은 자신의 SNS 쓴 글에서 선반 안에 있던 보조 배터리나 전자담배 훈증기 같은 수화물 불이 났거나 화장실 내 흡연 기내 상부 전기 합선 등으로 화재 원인이 아닐 추측한다고 했다. 조사를 통해 밝혀지겠지만,,

하지만 원인도 중요하지만 승무원의 잘못된 대처로 인해 많은 인명피해가 나올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드는 대목이 있다. M 뉴스와 승객들의 증언에 따르면 불이 순식간 비행기 전체를 태워버렸는데 이런 긴박했던 기내의 상황에도 불구하고, 어떤 안내 방송은 물론이고 탑승 게이트 문도 열지 말라고 했다는 증언이 나오면서 인명피해가 발생했을 수도 있었는데 적절한 대처였는지 의구심이 드는 부분이 없진 않다.
배터리 화재로 인한 사건~
보조배터리에 의한 사고인지 아닌지는 분석해 봐야 하겠지만, 배터리에 의한 문제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작년 4월 김포에서 제주로 향하던 아시아나항공를 비롯하여 국외 사례도 다수 있었는데요. 이제는 없어서는 안되는 여행의 또 하나의 필수품의 하나로 자리 잡았기 때문에 리튬 보조배터리에 대한 규정 마련이나 안전이 보장된 것을 구매하여야 할 것 같다.

여행 전 배터리를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부풀어 오르거나 손상된 경우는 사용을 금하고, 완충 상태가 아닌 50~80% 정도로 충전하고 보호 캡이 나 별도의 파우치에 보관하여 사용하는 것이 올바른 사용법이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다.
여행객들의 불안감과 해결 방안

불과 한 달 동안 연이어 발생하는 항공기 사고로 인해 여행객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데, 물론 여행을 좋아하는 1인으로서도 걱정이 없을 순 없기 때문에 항공 수화물 관리 및 위험 물질에 대한 안전 수칙뿐 아니라 항공사 측에서도 안전 안내 및 절차에 좀 더 신경을 써야 할 것 같다.

위험 수하물 관리: 기내 반입 수하물에는 발화 위험이 있는 물품을 넣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안전벨트 및 비상구 작동 방법 등 : 비행 중에는 항상 안전벨트를 착용하여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해야 하며, 안전한 여행 지침을 숙지할 필요가 있다.

에어부산의 무사고 기록
2008년 첫 운항을 시작한 이후 12년간 무사고 기록을 유지해왔으며, 국내 항공사 중 연간 10만 편 이상의 운항을 하는 유일한 기록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이번 일로 그동안 안전 기록의 종지부를 찍었다고 한다. 항공기는 순간의 부주의로도 큰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안전 점검에 각별한 신경을 써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현재는 김해공항은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지만 에어부산 일부만 결항과 지연이 발생하고 있다고 한다. 명절 기간 동안 김해공항을 이용하는 분들은 미리 지연이나 결항 정보를 확인해 두는 것이 좋겠다. 오랜만에 떠나는 여행인 만큼, 아무런 문제 없이 안전하고 즐거운 추억을 만드는 소중한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