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곡밥 레시피>

오곡밥 만들기
정월대보름 음식
압력밥솥 찰밥 만들기
오곡밥 만드는 법
갑자기 내리는 눈에 내려서 커피
한잔을 마시다가 깜짝 놀랐네요.
기온이 뚝 떨어지면서 걸음걸이도
슬로 슬로~♬
자칫 걷다가 넘어질 수 있기 때문에
눈 오는 날 걷고 나면 피로감이 더한 것
같아요. 온 신경이 빙판이 된 바닥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조심하다 보니까
'역시 나이는 못 속이겠구나'
라는 생각도 드네요.

추운 겨울 날씨에 영양 가득한 밥을
먹고 싶어서 정월대보름 오곡밥을
만들어봤어요. 2025년 대보름 날짜는
2월 12일로 일주일정도 남았어요.
'압력밥솥 찰밥 만들기'는 요리 초보자도
쉽게 따라 만들 수 있어요. 다면 찹쌀밥
물 양 부분만 신경을 쓰면 됩니다.
또 팥이 들어가면 불려서 말캉하게
삶아주는 과정도 필요하기 때문에
꼼꼼하게 정리해 볼게요.




[정월대보름 오곡밥 만들기]
6~8인분 기준
찹쌀 3컵
팥 50g
오색콩 50g
밤 100g
은행 30g
꽃소금 1/3스푼


1. 콩과 팥은 따로 그릇에 담아
불려주는데 5시간 이상 해줍니다.
보통 저는 반나절 이상 불려준 후에
삶아주는 편인데 쪼글쪼글한 느낌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충분히
불려주세요.



2. 찹쌀은 깨끗하게 씻어준 후에
30분 정도 불려줍니다.
찰밥 만들기에 생략해주기도 하는데
불려주면 찹쌀밥이 촉촉하면서
밥알이 되직하지도 질지도 않고
고슬고슬한 식감을 즐길 수 있어요.




3. 충분히 불린 팥은 냄비에 넣고
후루룩 한번 끓여주세요.
건더기인 팥은 채반에 받쳐주고
삶은 첫 물은 버려줍니다. 쓴맛이
나지 않도록 데치듯이 삶은 물은
버려주고 다시 삶아주면 됩니다.


4. 냄비에 물 2컵을 넣고 뚜껑을
덮어 팥을 삶아줍니다. 센 불에서
끓이다가 중 약불로 낮춰 익혀주는데
팥알을 손으로 눌러보았을 때 완전히
익으면 가스불을 꺼주세요.



5. 불려놓은 오곡콩도 삶아주는데
후루룩 끓으면 탁한 거품을
걷어내 주고 가스불을 꺼주세요.
삶은 팥과 콩은 물과 함께 완전히
식혀서 밥물로 활용해 주면 됩니다.

6. 불린 찹쌀은 채반에 받쳐 물기를
빼줍니다. 계속 담가 놓으면 오곡밥을
했을 때 밥이 질어져요. 건져주세요.

찹쌀밥 물 양이 궁금하시죠?
보통 밥을 할 때는 1 : 1로 잡아주면
되는데 찹쌀은 일반 맵쌀보다 물이
적게 들기도 하고, 불렸기 때문에 조절해
주어야 합니다.
저는 종이컵 기준과 똑같은 180g으로
물 3컵은 540g을 넣어야 하는데
510g의 찹쌀밥 문으로 조절해 줬어요.
복잡해 보이면 물 양을 3컵으로
찹쌀 양(불리기 전)과 함께 넣어준 후에
밥숟가락으로 물 3스푼을 덜어내 주면
비슷한 무게가 됩니다.



7. 밥솥에 불린 찹쌀을 넣고
삶은 팥과 콩을 함께 넣어주세요.



8. 밥 물은 콩과 팥을 삶은 물로
부어주고 꽃소금 1/3스푼을
함께 넣어 일반 취사로 눌러주세요.
충분히 불렸고 삶았기 때문에 잡곡
기능으로 밥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고슬고슬 아주 맛있게 압력밥솥
찰밥이 완성되었어요. 정월대보름
오곡밥으로 먹어도 되고,
생일 찹쌀밥으로 먹으면 간이 간간해서
반찬 없이 그냥 먹어도 맛있어요.


맛만 보자며 한 숟갈 맛봤는데
쫀득하고 고소한 식감과 함께
행복감이 밀려옵니다.
밤을 일부러 잘게 썰지 않았는데
하나만 입안에 넣어도 맛있는
밤이 팡팡 터지는 느낌이에요.

정월대보름 음식으로 먹는
오곡밥 재료는 찹쌀을 베이스로
콩이나 수수, 팥, 차조 등 다양하게
넣으면 넣을수록 맛있어집니다.
아... 이제 대보름 나물을 만들면 되나요?
오늘 하루도 열심히 사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감기 조심하세요^^